화면캡쳐 for win & mac

I/info 2011. 10. 27. 16:15


출처 : http://noteing.tistory.com/13

윈도우에서 화면캡쳐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듯이 PrtSc 키를 누르면 전체화면이 클립보드로 저장된다.

(PrtSc 자체가 Print Screen의 줄임말)

이 저장된 내용을 워드나 한글 등에서 Ctrl + V 로 붙일 수 있다. 저장을 하고 싶은 경우 그림판 등을 띄운 후 저장을 하면 된다.

전체화면말고 현재 작업중인 창만 캡쳐하고 싶은 경우에는 Alt + PrtSc를 누르면 된다.

이 방법들은 간단하게 사용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는 대신에 웹에 사진을 올리거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그림판을 띄워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원하는 부분만 캡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내가 윈도우에서 자주 이용하는 캡쳐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오픈캡쳐]이다.
다양한 캡쳐를 지원한다.

원하는 영역 : Shift+Ctrl+R
원하는 창 : Shift+Ctrl+W
전체 화면 : Shift+Ctrl+S

캡쳐를 한 다음에 간단한 수정이 가능하다.

----------------------------------------------------------------------------------
이번에는 맥에서의 캡쳐를 알아본다.

맥에서는 간단하게 단축키로 캡쳐가 가능하다.

파일로 저장 :

전체 화면 : Command + Shift + 3
원하는 영역 : Command + Shift + 4 -> 영역 선택
원하는 창 : Command + Shift +4 + Space -> 창 선택

- 이렇게 캡쳐를 하면 바탕화면(Desktop)에 현재시간으로 파일이 저장된다.

클립보드에 저장 : 기존의 단축키에 Ctrl을 더 누르면 된다.

전체 화면 : Ctrl + Command + Shift + 3
원하는 영역 : Ctrl + Command + Shift + 4 -> 영역 선택
원하는 창 : Ctrl + Command + Shift +4 + Space -> 창 선택

'I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epad++  (0) 2011.10.28
블랙 구글  (0) 2011.10.28
Daum 꼬마사전 (영단어 자동검색 사전)  (0) 2011.10.27
하드디스크를 샀는데 용량이 작다!  (0) 2011.10.27
How Internet Works  (0) 2011.10.23

설정

트랙백

댓글


Daum 꼬마사전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어떤 프로그램에서라도 마우스만 올려놓기만하면 영단어 뜻을 찾아준다는 점

이 가장 큰 장점이자..

하지만 그만큼 컴텨 속도도 저하될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단점이 되겠죠 ^^

(대략 25MB 잡아 먹음.)

모든 프로그램에 테스트를 해보진 않았지만 제가 사용할 때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적용

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p.s 프로그램 간에 충돌 가능성이 있음.

관련 자세한 내용은 http://alldic.daum.net/dic/utility.do?utkd=dic

다운로드 : http://get.daum.net/dic/DaumMiniDic.exe

'I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 구글  (0) 2011.10.28
화면캡쳐 for win & mac  (0) 2011.10.27
하드디스크를 샀는데 용량이 작다!  (0) 2011.10.27
How Internet Works  (0) 2011.10.23
TIOBE Programming Community Index for October 2011  (0) 2011.10.12

설정

트랙백

댓글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2진법을 쓰기 때문에 컴퓨터에서는 이 단위와 근접한 210, 즉 1024를 기준으로 단위를 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제조사는 제품 용량을 표기할때 십진법으로 표기합니다. OS는 하드디스크 용량을 2진법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실제 하드디스크는 스펙에 표기된 용량보다 작게 표기됩니다.

하드디스크 생산업체는 1GB를 109byte로, Windows는 1GB를 230byte로 따지니, 십진법으로 표기한 1GB(10003byte)는 2진법으로 표기한 1GB(10243byte)에 73,741,824 byte가 모자라게 됩니다. 대략 70MB.

예를 들어, 5000억 byte가 있다면 하드디스크 제조사에서는 10억으로 나눠서 500GB지만, Windows는 230제곱으로 계산해서 약 465GB라고 표현하게 되는거죠.

십진법이 편하긴 하지만, 전산 분야에서는 2진수 기반 체계가 쓰이고 있는 것을 생산업체가 모를리가 없다는걸 보면 이건 그저 용량을 불리기 위한 꼼수인듯.

설정

트랙백

댓글

How Internet Works

I/info 2011. 10. 23. 20:56


설정

트랙백

댓글

설정

트랙백

댓글




미국의 대표적인 IT 기업 조직도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다.

미국의 봉커스월드(Bonkers World)라는 사이트에는 아이디 마누(Manu)가 '조직도(Organization Chart)'라는 제목으로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재미난 그림을 올렸다.

링크 ::
http://photo.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08&newsid=20110706180009436&p=kukminilbo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