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J/Java에 해당되는 글 21건
- 2012.01.24 Java 7의 새로운 특징 : Java7에서의 중요한 변화들과 업데이트된 항목에 대한 조사.
- 2012.01.06 ThreadLocal 클래스
- 2011.11.17 UIManager.setLookAndFeel ( 자바 스윙 룩앤필 설정 )
- 2011.11.10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 2011.11.09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 2011.11.06 더블 중괄호 초기화
- 2011.10.27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 2011.10.27 Java Performance Tip
- 2011.10.27 [이클립스]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올리자!
- 2011.10.27 String Vs String Buffer
글
Java 7의 새로운 특징 : Java7에서의 중요한 변화들과 업데이트된 항목에 대한 조사.
출처 : http://www.hanb.co.kr/network/view.html?bi_id=1780
Java 7에는 개발자들이 좋아할만한 많은 특징들이 있다. switch구문에서 사용하는 String, 다중 exception처리multi-catch exception), try-with-resource 구문, 새로운 파일시스템 API, JVM의 확장, 동적 타입의 언어에 대한 지원, 유사한 작업을 위한 fork와 join 프레임워크 등 분명히 많은 곳에서 수용되어질 것이다.
아래에 Java 7의 특징을 설명하고 예제를 제공하였다.. 이 글에서 사용한 코드가 담긴 zip파일은 이곳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개선된 점들
Java 7은 Project Coin을 통한 새로운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 특징들은 개발자들에게 상당히 유용하다.다이아몬드(<>) 지시자
당신은 사용하고 있는 IDE에 대한 불평으로 Generics를 사용한 경우를 많이 언급해왔을 것이다. 예를 들면 우리가 Map을 이용한 Generics를 선언할 때에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할 것이다.
Map<String, List<Trade>> trades = new TreeMap<String, List<Trade>> ();이런 선언에 대한 안 좋은 점은 오른쪽에 있는 선언이 불필요하게 보일지라도 우리는 양쪽에 타입을 선언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왼쪽에만 선언한 것으로 컴파일러가 타입을 추측할수 있을까? Java 7을 사용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Java 7에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Map<String, List<Trade>> trades = new TreeMap <> ();얼마나 멋진가? 당신은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전체 타입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대신 다이아몬드 지시자라고 불리는 <> 기호를 사용한다. trades = new TreeMap() 과 같이 다이아몬드 지시자를 선언하지 않는 것은 허용되지만 컴파일러가 Type safety warning을 발생시킨다.
switch 구문에서 String 사용
Switch 구문은 기본형과 열거형만 사용이 가능했다. Java 7은 switch 문에서 사용할수 있는 다른 타입을 추가하였다. 바로 String 타입이다.
Trade의 상태로 진행되는 요구사항이 있다고 해보자. 지금까지는 이러한 상황에서 if-else구문을 사용해왔다.
private void processTrade(Trade t) { String status = t.getStatus(); if (status.equalsIgnoreCase(NEW)) { newTrade(t); } else if (status.equalsIgnoreCase(EXECUTE)) { executeTrade(t); } else if (status.equalsIgnoreCase(PENDING)) { pendingTrade(t); } }String으로 동작하는 이 메서드는 대충 만들었다. Java서에서 우리는 String 타입을 변수로 받는 향상된 Switch문을 활용하여 이 메서드를 향상시킬수 있다.
public void processTrade(Trade t) { String status = t.getStatus(); switch (status) { case NEW: newTrade(t); break; case EXECUTE: executeTrade(t); break; case PENDING: pendingTrade(t); break; default: break; } }위에 프로그램에서는, 상태 필드를 계속 String.equals() 메서드를 사용한 case label과 비교하였다.
자동 자원 관리
Connection, Files, Input/OutStream 등과 같은 자원은 코드를 작성한 개발자가 수동으로 회수해야만 했다. 보통 우리는 각각의 자원을 회수하기 위해 try-finally 블록을 사용한다. 아래 예제를 보면 리소스를 만들고, 그것을 사용하고 마지막에는 그것을 회수한다.
public void oldTry() { try { fos = new FileOutputStream("movies.txt"); dos = new DataOutputStream(fos); dos.writeUTF("Java 7 Block Buster");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try { fos.close(); dos.close(); } catch (IOException e) { // log the exception } } }그러나, Java 7은 자동으로 리소스를 관리하는 훌륭한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동작 또한 간단하다. 우리가 해줄 것은 try문 안에 아래와 같이 자원을 선언하는것 뿐이다.
try(resources_to_be_cleant){ // your code }예전 try문을 사용한 위의 메소드는 아래 보여지는 것처럼 이 새로은 기능을 사용하여 다시 작성될 수 있다.
public void newTry() { try (FileOutputStream fos = new FileOutputStream("movies.txt");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fos)) { dos.writeUTF("Java 7 Block Buster"); } catch (IOException e) { // log the exception } }위의 코드는 또한 이 특징의 다른 측면도 보여주고 있다 : 여러개 자원들에 대해서도 동작을 한다. FileOutputStream과 DataOutputStream 은 각각 세미콜론(;)으로 나눠서 차례로 try 문 안에 쌓여있다.
try블록에 존재하는 기능이 한번에 자동으로 스트림을 회수해주기 때문에 우리는 수동으로 스트림을 null 처리하거나 close해줄 필요가 없다. 자동으로 회수되어져야 하는 자원들은 내부적으로 java.lang.AutoClose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 해야만 한다.
AutoClose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리소스들은 자동 자원 관리를 위한 지원자가 될 수 있다. AtutoCloseable은 java.io.Closeable 인터페이스의 부모이고 오직 close() 메서드 하나만을 가지고 있다. 이 close() 메서드는 try 블록이 나왔을 때에 JVM에 의해서 호출된다.
숫자와 관련된 문자에 밑줄 표시
숫자와 관련된 문자들은 분명히 눈 여과기이다. 만약 10개의 0이 있는 숫자가 있다면 당신은 나와 마찬가지로 0을 세어보기 시작할 것이다. 만약 100만 또는 10억의 숫자가 있는데 당신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릿수를 세어보지 않는다면 문자를 인식하는데 실수를 범하기 쉽고 어려울 것이다. 더이상 그럴 필요가 없다. Java 7에는 자릿수를 표시하기 위한 underscores(밑줄)이 포함되어있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1000을 선언 할 수 있다.
int thousand = 1_000;1000000은 아래와 같다.
int million = 1_000_000이번 릴리즈에는 2진수에 대한 것도 소개 되었다. 예를 들어 "0b1"과 같이 2진수도 표현할 수 있어서 개발자들이 더 이상 16진수로 이것을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
향상된 예외처리
예외처리 영역에서 2가지 향상된 점이 있다. Java7에서는 하나의 catch블록을 사용해서 여러개의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multi-catch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3개의 예외를 처리 해야하는 메서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상태에서는 아래처럼 각각의 예외를 처리해야 한다.
public void oldMultiCatch() { try { methodThatThrowsThreeExceptions(); } catch (ExceptionOne e) { // log and deal with ExceptionOne } catch (ExceptionTwo e) { // log and deal with ExceptionTwo } catch (ExceptionThree e) { // log and deal with ExceptionThree } }catch 블록 안에 여러개의 예외를 차례로 처리하는 모습은 어수선해 보인다. 나는 12개의 예외를 잡는 코드를 본적도 있다. 이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비효율적이고 오류를 범하기 쉽다. Java 7은 이 미운 오리새끼를 다루기 위해 언어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아래에 oldMultiCatch 메서드의 향상된 버전을 보자.
public void newMultiCatch() { try { methodThatThrowsThreeExceptions(); } catch (ExceptionOne | ExceptionTwo | ExceptionThree e) { // log and deal with all Exceptions } }여러개의 예외들은 '|' 연산자를 사용해서 1개의 catch블록 안에서 처리된다. 이 방법으로 더이상 12개의 catch문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다른 타입에 속하는 여러 개의 예외가 있다면 "multi multi-catch" 블록을 이용하면 된다. 아래 예제에는 이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public void newMultiMultiCatch() { try { methodThatThrowsThreeExceptions(); } catch (ExceptionOne e) { // log and deal with ExceptionOn } catch (ExceptionTwo | ExceptionThree e) { // log and deal with ExceptionTwo and ExceptionThree } }다른 분류에 속하는 ExceptionTwo와 ExceptionThree는 다르게 분리되었지만, 하나의 catch블록에서 처리되어있다.
새로운 파일 시스템 API (NIO 2.0)
Java IO를 사용한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프레임워크에 의해서 발생되는 골치 거리들을 기억할 것이다. 운영체제나 다중파일 시스템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 정말 어렵다. 대부분 예기치 않게 발생된 delete나 rename 메서드가 그런 경우이다. 특정 기호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본질적으로 API는 정비가 필요하다.Java IO에서 나타난 위의 문제점들을 풀기 위해서 Java 7은 정비된 많은 종류의 새로운 API를 도입하였다.
NIO2.0은 많이 향상된 점을 가지고 나왔다. 또한 다중파일시스템으로 작업하는 개발자의 삶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새로운 클래스들을 도입하였다.
Path를 이용한 처리
새로운 java.nio.file 패키지는 Path, Paths, fileSystem, FileSystems 등과 같은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있다.
Path는 단순이 file 경로의 참조이다. java.io.File과 비슷하다(더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temp 폴더의 참조 경로를 어떻게 획득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public void pathInfo() { Path path = Paths.get("c:\Temp\temp"); System.out.println("Number of Nodes:" + path.getNameCount()); System.out.println("File Name:" + path.getFileName()); System.out.println("File Root:" + path.getRoot()); System.out.println("File Parent:" + path.getParent());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Number of Nodes:2 File Name:temp.txt File Root:c: File Parent:c:Temp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것은 Files 클래스에 있는 delete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만큼 간단하다. Files 클래스는 NoSuchFileException을 처리하는 것과 처리하지 않는 2개의 delete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 delete 메서드 호출은 NoSuchFileException을 던진다. 따라서 해당 exception을 처리해야만 한다.
Files.delete(path);만약 file 또는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예외를 던지길 기대하더라도 Files.deleteIfExists(path)은 예외를 던지지 않는다.
파일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는 Files.copy(..)나 Files.move(..)와 같은 유용한 메서드를 사용할수 있다. 당신의 코드에서 링크를 만들때에 단순히 createSymbolicLink(..)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
알림을 변경한 File
JDK7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점은 File Change Notifications의 추가이다. 아주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이 기능은 마침내 NIO 2.0에 추가되었다.
API를 구현하는데 관련된 단계는 아래와 같다.
- WatchService를 생성한다. 이 서비스는 WatchKeys를 가지고 있는 큐로 구성되어있다.
- 이 WatchService로 모니터링하고 싶은 디렉토리나 파일을 등록한다.
- 등록하는 동안 받고 싶은 이벤트의 타입을 정의한다. (추가, 수정, 삭제등)
- 이벤트를 받기위해 무한대 루프를 실행시켜야만 한다.
- 이벤트가 발생하면 WatchKey 가 큐안으로 저장된다.
- WatchKey를 사용하기 위해 쿼리를 호출한다.
1. WatchService 객체를 생성한다.
WatchService watchService = FileSystems.getDefault().newWatchService();2. 볼수있는 디렉토리의 참조경로를 가져온다. 나는 파일명을 하드코딩하지말고 파라메터로 전달하기를 추천한다.
path = Paths.get("C:\Temp\temp\");3. 다음 단계는 모든 종류의 이벤트를 WatchService 에 등록한다.
dirToWatch.register(watchService, ENTRY_CREATE, ENTRY_MODIFY, ENTRY_DELETE);이 타입들은 java.nio.file.StandardWatchEventKinds 에 정의된 이벤트 타입들이다.
4. 무한 루프를 초기화하고 이벤트를 잡기위해 시작시킨다.
while(true) { WatchKey key = watchService.take(); // this would return you keys }5. 키 이벤트들을 통해 실행된다.
for (WatchEvent<?> event : key.pollEvents()) { Kind<?> kind = event.kind(); System.out.println("Event on " + event.context().toString() + " is " + kind); }예를들어, temp 디렉토리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면 콘솔창에 각각 아래와 같은 문장을 보게 될것이다.
Event on temp is ENTRY_MODIFY Event on temp is ENTRY_DELETEDirPolice 소스와 과련된 메서드는 아래에 게시되어있다. (전체 소스코드 다운로드)
/** * This initiates the police */ private void init() { path = Paths.get("C:\Temp\temp\"); try { watchService = FileSystems.getDefault().newWatchService(); path.register(watchService, ENTRY_CREATE, ENTRY_DELETE, ENTRY_MODIFY); } catch (IOException e) { System.out.println("IOException"+ e.getMessage()); } } /** * The police will start making rounds */ private void doRounds() { WatchKey key = null; while(true) { try { key = watchService.take(); for (WatchEvent<?> event : key.pollEvents()) { Kind<?> kind = event.kind(); System.out.println("Event on " + event.context().toString() + " is " + kind); }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System.out.println("InterruptedException: "+e.getMessage()); } boolean reset = key.reset(); if(!reset) break; } }
Fork와 Join
Java 프로그램에서 병렬코어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것은 항상 도전이었다. 여러개의 코어에 작업을 나눠주고 결과를 리턴받기위해 그것들을 조인하는 소수의 프레임워크들이 있다. Java7은 Fork와 Join 프레임워크로 이 기능들을 포함했다.기본적으로 소규모 작업이 더 이상의 분할이 없이 해결될 수 있을 때까지 Fork-Join은 작업들을 소규모로 나눈다. divide-and-conquer 알고리즘과 비슷하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주목할만한 중요한 개념은 원칙적으로 worker thread는 더이상 유휴상태일리가 없다는 것이다. 바쁜 worker들로부터 작업을 "훔친다" 는 것은 이 프레임워크가 work-stealing algorithm를 구현했다는 것이다.
Fork-Join 메카니즘을 지원하는 코어 클래스들은 ForkJoinPool과 ForkJoinTask이다.
ForkJoinPool 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말했던 work-stealingalgorithm을 구현한 ExecutorService를 특화시켜서 구현한것이다.
우리는 수많은 프로세서들을 동일한 레벨의 대상으로 제공함으로써 ForkJoinPool 객체를 생성한다.
ForkJoinPool pool = new ForkJoinPool(numberOfProcessors)여기서 numberOfProcessors = Runtime.getRunTime().availableProcessors();
그러나 ForkJoinPool의 기본 인스턴스는 위에서 얻은 동일한 개수로 동일한 단계로 설정 해야 한다.
해결해야 할 문제는 ForkJoinTask 안에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RecursiveAction 과 RecursiveTask 클래스는 특별하게 구현되어 있다. 이 2개 클래스의 차이점은 앞에것은 리턴값이 없는 반면에 뒤에것은 특정 타입의 오브젝트를 리턴한다는 것이다.
여기 당신의 요구사항을 나타낸 RecursiveAction 와 RecursiveTask 클래스를 어떻게 생성하는지 보여주고 있다.(나는 RecursiveAction 클래스를 사용했다.)
public class MyBigProblemTask extends RecursiveAction { @Override protected void compute() { . . . // your problem invocation goes here } }당신은 computing 기능을 필요하는 곳에 compute 메서드를 오버라이드 해야한다. 그리고 ForkJoinPool 안에 있는 호출 메서드 부름으로써 ForkJoinTask를 Executor에 전달한다.
pool.invoke(task);
동적 언어 지원
Java는 변수, 메서드와 반환값들의 타입을 컴파일 시간에 체크하는 정적인 유형의 언어이다. JVM은 타입정보를 찾는것에 대한 우려 없이 런타임시간에 강력히 정의된 바이트 코드를 실행시킨다.동적으로 타입이 정해지는 다른 유형의 언어들이 있다. Ruby, Python, Clojure 는 이 분류에 속한다. 이 언어들은 타입이 실행시간때까지 정해지지 않는다. 어떤 필요한 타입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것은 Java에서는 불가능하다.
동적 언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임시적으로 처리한것에 대한 자바진형에 압력이 증가하였다. 이들 언어들을 JVM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제약과 제한이 없는 것 은 아니었다.
Java7에 있는 동적호출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소개하였다. 이것은 자바 이외의 언어의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가상머신을 변경하여 만든것이다. java.lang.invoke 라는 새로운 패키지는 MethodHandle, CallSite등과 같은 클래스로 구성되어있고 동적 언어에 대한 지원을 확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마무리
우리가 알아본 Java7은 개발자의 얼굴을 웃음짓게 할 몇 가지 부가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오픈소스 지원과 JVM 확장을 통한 동적언어 지원은 자바 진형 이외의 개발자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을것임에 틀림없다.'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제너릭 (1) | 2014.03.16 |
---|---|
final 키워드의 중요성 (0) | 2014.03.16 |
ThreadLocal 클래스 (0) | 2012.01.06 |
UIManager.setLookAndFeel ( 자바 스윙 룩앤필 설정 ) (0) | 2011.11.17 |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0) | 2011.11.10 |
글
ThreadLocal 클래스
자바 1.2 버전부터 제공되고 있지만 아직 다수의 개발자들이 잘 몰라서 활용을 잘 못하는 기능이 하나 있는데, 그 기능이 바로 쓰레드 단위로 로컬 변수를 할당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ThreadLocal 클래스를 통해서 제공되는데
...
ThreadLocal을 이용하면 쓰레드 영역에 변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쓰레드가 실행하는 모든 코드에서 그 쓰레드에 설정된 변수 값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아래는 트랜잭션처리를 위해 ThreadLocal을 이용해서 동일한 Connection을 얻기 위한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public class ConnectionUtil .... {
...
/*
threadLocal을 이용해서 같은 connection을 끊지 않는 이상은 공유
*/
public static final ThreadLocal<Connection> threadLocal = new ThreadLocal<Connection>();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Connection connection = (Connection)threadLocal.get();
try {
if (connection == null ){
connection = dataSource.getConnection();
threadLocal.set(connection);
}
return connection;
} catch (SQLException e){
e.printStackTrace();
throw new DAOException(e.getMessage());
}
}
... } |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al 키워드의 중요성 (0) | 2014.03.16 |
---|---|
Java 7의 새로운 특징 : Java7에서의 중요한 변화들과 업데이트된 항목에 대한 조사. (0) | 2012.01.24 |
UIManager.setLookAndFeel ( 자바 스윙 룩앤필 설정 ) (0) | 2011.11.17 |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0) | 2011.11.10 |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0) | 2011.11.09 |
글
UIManager.setLookAndFeel ( 자바 스윙 룩앤필 설정 )
UIManager.LookAndFellInfo looks[] = UIManager.getInstalledLookAndFeel();
UIManager.setLookAndFeel(looks[값].getClassName());
SwingUtilities.updateComponentTreeUI(this);
이렇게 하면 자신의 룩앤필 프레임을 변경할 수 있다.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7의 새로운 특징 : Java7에서의 중요한 변화들과 업데이트된 항목에 대한 조사. (0) | 2012.01.24 |
---|---|
ThreadLocal 클래스 (0) | 2012.01.06 |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0) | 2011.11.10 |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0) | 2011.11.09 |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글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readLocal 클래스 (0) | 2012.01.06 |
---|---|
UIManager.setLookAndFeel ( 자바 스윙 룩앤필 설정 ) (0) | 2011.11.17 |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0) | 2011.11.09 |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0) | 2011.10.27 |
글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Platform
Platform 의 사전적 의미 중 “기반” 이라는 단어가 Java에서 가장 적절한 뜻이라고 볼 수 있다. 즉 Java Platform 이란 포괄적인 의미로는 java환경이 돌아갈 수 있는 Hardware 환경, Software 환경 같은 것을 의미한다. J2SE가 그러한 환경 중에 PC와 관련이 있지만 더 작은 단위인(OS의 구분) Windows, Unix, MaxOS 등으로 나뉜다. 따라서 Java를 구동시키는 환경에 따라 Platform이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자바를 이용하여 같은 프로그램을 구동하더라도 OS에 따라 코드의 내용이나 설정이 조금씩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Java는 독립성을 꾀 추구 하고 있으며 이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SDK => Standard Development Kit 혹은 Software Development Kit
위의 두가지 표현 모두 맞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떻게 사용하고,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다르지만 내용은 비슷합니다.
SDK는 자바뿐만아니라 모든 개발언어의 소프트웨어 개발 킷을 말합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개발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겠죠? 그것을 말합니다^^
JDK => Java Development Kit
위에 설명한 SDK가 모든 소프트웨어 개발 킷이라면...
JDK는 말그대로 JAVA 개발 킷을 말합니다.
즉, Java용 SDK의 이름이 JDK라고 표현할수 있죠.
그런데 요즘들어 J2SE Development Kit라고 표현되있는 것을 볼수있습니다.
이것은 J2SE의 JDK를 다운받을때 볼수 있는데요...
java.sun.com 홈페이지에 가보면... sun에서는 J2SE의 경우 jdk라 표현하며...
이때 J2SE Development Kit라고 되있습니다.
그리고 J2EE의 경우 j2eesdk라고 되있더군요.
즉, 최근 sun에서는 J2SE의 개발킷을 jdk라고 표현하며...
J2EE의 개발킷은 j2eesdk라고 표현하더군요.
J2SDK => Java2 Standard Development Kit
/ Java2 Platform Standard Development Kit
위에 JDK설명에서 보시듯이 요즘 J2SE의 개발킷을 JDK라 표현하는데요...
예전에 java2 platform이 출시되었을 당시 java1과 구분하기위해 J2SDK라고 표현 했습니다.
즉, 현제는 java2 platform만 사용하기 때문에 JDK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J2SE => Java 2 Standard Edition / Java2 Platform Standard Edition
J2SE는 말그대로 java의 표준 플렛폼 입니다.
J2ME => Java 2 Micro Edition / Java2 Platform Micro Edition
J2ME는 규모가 작은곳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플렛폼 입니다.
예를들면 PDA를 들수있죠^^
J2EE => Java 2 Enterprise Edition / Java2 Platform Enterprise Edition
J2EE는 웹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플렛폼 입니다.
대표적으로 EJB가 있죠^^
JRE => J2SE Runtime Environment
JRE는 실행버젼입니다.
JDK로 제작한 테스트 프로그램등을 실행할수 있도록 해주죠.
그래서 파일용량이 적은대신 개발할수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디벨로퍼킷에 JR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들면 한글뷰어 아시죠?
한글파일을 작성할수는 없지만 읽을수는 있죠.
이것과 비슷합니다^^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Manager.setLookAndFeel ( 자바 스윙 룩앤필 설정 ) (0) | 2011.11.17 |
---|---|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0) | 2011.11.10 |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0) | 2011.10.27 |
Java Performance Tip (0) | 2011.10.27 |
글
더블 중괄호 초기화
출처 : http://www.c2.com/cgi/wiki?DoubleBraceInitialization
Double Brace Initialization
- Declare a variable for a temporary collection
- Create a new empty collection and store a reference to it in the variable
- Put things into the collection
- Pass the collection to the method
Set<String> validCodes = new HashSet<String>(); validCodes.add("XZ13s"); validCodes.add("AB21/X"); validCodes.add("YYLEX"); validCodes.add("AR2D"); removeProductsWithCodeIn(validCodes);Or to initialize a set of constants:
private static final Set<String> VALID_CODES = new HashSet<String>(); static { validCodes.add("XZ13s"); validCodes.add("AB21/X"); validCodes.add("YYLEX"); validCodes.add("AR2D"); }But... you can create and initialize a new collection as an expression by using the "double-brace" syntax: E.g.
private static final Set<String> VALID_CODES = new HashSet<String>() {{ add("XZ13s"); add("AB21/X"); add("YYLEX"); add("AR2D"); }};Or:
removeProductsWithCodeIn(new HashSet<String>() {{ add("XZ13s"); add("AB21/X"); add("YYLEX"); add("AR5E"); }});The first brace creates a new AnonymousInnerClass, the second declares an instance initializer block that is run when the anonymous inner class is instantiated. This type of initializer block is formally called an "instance initializer", because it is declared withing the instance scope of the class -- "static initializers" are a related concept where the keyword static is placed before the brace that starts the block, and which is executed at the class level as soon as the classloader completes loading the class (specified at http://java.sun.com/docs/books/jls/third_edition/html/classes.html#8.6) The initializer block can use any methods, fields and final variables available in the containing scope, but one has to be wary of the fact that initializers are run before constructors. This only works only for non-final classes because it creates an anonymous subclass. Obviously, this is not limited to collections; it can be used to initialize any kind of object -- for example Gui objects:
add(new JPanel() {{ setLayout(...); setBorder(...); add(new JLabel(...)); add(new JSpinner(...)); }});The instance of the anonymous class that you have created contain a synthetic reference to the enclosing object. If you serialise the collection you will also serialise everything in the outer class.
This idea is incompatible with one popular way to implement the equals(Object o) method. Assume class Example has this method:
public boolean equals(final Object o) { if (o == null) { return false; } else if (!getClass().equals(o.getClass())) { return false; } else { Example other = (Example) o; // Compare this to other. } }Then, objects created by DoubleBraceInitialization will never be equal to objects created without it. I would never use this for any class that needs a nontrivial equals(Object)method. Collection classes should be fine. So should the JPanel instance above. -- EricJablow It would be nice if Java only created and initialised an instance, not create a new class, for double brace initialisation and any anonymous "class" that does not add fields or override methods.
An idiomatic alternative, that doesn't require such heavy handed use of anonymous inner classes, is to use the constructor arguments to collections that accept another collection as the source data.
List<String> myList = new ArrayList<String>(Arrays.asList("One", "Two", "Three"));Although, this only works with collections that can be represented as a single array -- it doesn't work for maps. Or, use a VarargsCollectionFactoryMethod. >>Although this only works for collections<<< True but but you can use Commons ArrayUtils?.toMap(new MapUtils?.toMap(new String[][] {{
{"RED", "#FF0000"}, {"GREEN", "#00FF00"}, {"BLUE", "#0000FF"}});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키워드 접근자?(수정자??) (0) | 2011.11.10 |
---|---|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0) | 2011.11.09 |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0) | 2011.10.27 |
Java Performance Tip (0) | 2011.10.27 |
[이클립스]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올리자! (0) | 2011.10.27 |
글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개발을 하면서 마우스질을 많이 하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군대에서 2년간 한글을 사용할 때 고참들에게 많은 갈굼과 감시, 연습을 통해 일말상초때 마우스 한번 건들지 않고 엄청난 분량의 문서를 만들던 기억이 아직도 새록새록 하다.
eclipse도 많은 단축키를 지원하는데 몇몇 괜찮으면서 많이 사용되는 단축키를 알아보자.
1. ctrl + z, y Undo, Redo
2. ctrl + 1 Quick Fix
3. ctrl + d block delete
4. alt + 좌/우 이전, 다음 작업 이동
5. ctrl + alt + 위/아래 Block copy
6. ctrl + / Comment/Uncomment
7. alt + shift + r Rename
8. alt + shift + s Source menu
9. alt + shift + t Refactoring menu
10. alt + shift + x + @ run mode
11. ctrl + space Code Assist
12. ctrl + F11 restart last launching
13. sysout +ctrl + space System.out.println() Macro
14. ctrl + Shift + UP/Down 이전, 다음 메소드로 이동
15. ctrl + M Full Screen View
16. ctrl + W 창 닫기
17. ctrl + PageUP/Down 창 좌우로 이동
18. alt + 위/아래 블록 채 이동
19. ctrl + shift + o Organize Import
20. ctrl + shitf + r Open Resource
21. alt + shitf + z Surround with menu
22. ctrl + e Quick Switch Editor
23. shift + ctrl + w 모든 창 닫기
24. alt + shift + w show In Menu
25. ctrl + F7 Next View(원하는 View 창 전환)
25-1. ctrl + F8 원하는 Perspective로 전환
26. alt + shift + m Extract Method
27. ctrl + h Search
28. shift + alt + j javadoc 달기
29. shift + ctrl + l 도움말
30. alt + shift + I inline
31. ctrl + shitf + t Open Type
32. ctrl + shift + x/y 대/소문자 변환
33. ctrl + 3 Quick Access
34. alt + shift + s synchronize with Repository (SVN만 됨. CVS는 미지원)
35. alt + shift + w show in
36. ctrl + o Quick Outline
37. ctrl + l go to line
38. ctrl + , or . 컴파일 에러 혹은 경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이동
39.xml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Cleanup Document... 선택 -> 원하는 옵션 체크 후 OK
-> 바디가 비어 있는 xml 엘리먼트를 empty 엘리먼트 태그로 변경
40. ctrl+shift+c XML에서 선택 영역 주석 처리하기
이정도는 외우고 사용하는 센스를 발휘하는 개발자가 되기를 간절히 희망해 본다.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0) | 2011.11.09 |
---|---|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Java Performance Tip (0) | 2011.10.27 |
[이클립스]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올리자! (0) | 2011.10.27 |
String Vs String Buffer (0) | 2011.10.27 |
글
Java Performance Tip
JAVA/API Tech2010/04/29 11:54Posted by 아시리스
① 쓸데없이 Cast를 남발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Loop구조에서 쓸데없이 cast를 남발하면 performance를 현저히 저하시킵니다.
예) 쓸데없이 cast를 남발한 바람직하지 않은 코드예
for(int i=0; i<list.size(); i++){
if ( ((String)list.get(i)).indexOf('a') ! =-1) {
} else if(((String)list.get(i)).indexOf('b') ! =-1) {
} else if(((String)list.get(i)).indexOf('c') ! =-1) {
} else if(((String)list.get(i)).indexOf('d') ! =-1) {
} ...
}
예) 쓸데없는 cast를 제거한 좋은 코드예
for (int i=0; i<list.size(); i++){
String value = (String)list.get(i);
if(value.indexOf('a') ! = -1) {
} else if ((value.indexOf('b') != -1){
} else if ((value.indexOf('c') != -1){
} else if ((value.indexOf('d') != -1){
} ...
}
② 쓸데없이 동기화를 행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同期化(Synchronized)은 높은 cost입니다. 필요가 없을 시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요.
③ 쓸데없는 인스턴스생성은 바람직하지 않음
인스턴스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많은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performance를
현저히 저하 시키므로 주의하십시요.
예) String 인스턴스를 2번생성한 바람직 하지 않은 코드예
String value = new String("문자열");
예) 개량 후 코드예
String value = "문자열";
④ 필요이상으로 Wrapper클래스를 사용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Wrapper클래스(Integer, Boolean 등)을 클래스멤버로 사용하는 경우 인스턴스 생성이 필요하게 되므로, 기본적으로 Primitive형을 사용하는 편이 performance를 높입니다.
예) Wrapper클래스를 사용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eger id;
private Boolean isValid;
};
예) primitive형으로 치환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 id;
private boolean isValid;
};
또한 Wrapper클래스에는 없지만 java.math.BigDecimal 클래스는 Double 클래스 보다 정확한 부동소수연산이 가능하지만 performance를 저하시키므로 유의바랍니다.
⑤ primitive형의 default값을 이용
int형 boolean형등의 primitive형은 선언시 default값이 초기화 됩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초기화처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말하면 int형은 0, float은 0.0, boolean형은 false로 선언시에 초기화 됩니다.
예) primitive형의 초기화처리를 행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 id;
private boolean isValid;
public Person() {
id = 0;
isValid = false;
}
}
예) primitive형의 default값을 이용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 id;
private boolean isValid;
public Person() {
}
}
⑥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하는 방법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시에 각 Wrapper클래스(Integer,Double 등)의 static 메소드인 parseXXX()를 이용합니다.
valueOf()를 경유해서 XXXValue()를 실행하면 한번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어 불필요한 cost를 들게 합니다.
예) valueOf()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한 코드예
double doubleValue = Double.valueOf("1234.56").doubleValue();
int intValue = Integer.valueOf("123456").intValue();
예) 개량한 코드예
double doubleValue = Double.parseDouble("1234.56");
int intValue = Integer.parseInt("123456");
⑦ 필요이상으로 System.gc()를 사용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필요이상으로 System.gc()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실행 performance가 저하됩니다.
출처 : http://link.allblog.net/20632780/http://asisis.tistory.com/376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0) | 2011.10.27 |
[이클립스]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올리자! (0) | 2011.10.27 |
String Vs String Buffer (0) | 2011.10.27 |
[Java] AWT와 Swing의 차이점 (0) | 2011.10.23 |
글
[이클립스]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올리자!

1.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어떻게 올리나? 이 방법은 제가 넷북으로 이클립스를 실행 하였을때 너무나도 경이로운 실행 속도에 감탄하여 바로 검색 고고싱한뒤 알아낸 방법입니다. 때문에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의 취지는 저번주 처럼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 그런 팁입니다~ 자 그럼 이클립스 설정 파일을 한번 열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 파일은 위에 보면 아시겠지만 이클립스 설치 폴더 안에 있습니다. 그 다음에 eclipse.ini 파일을 살포시 열어 줍니다. 그러면 메모장이나 설정해두신 편집기로 파일이 요래 열립니다.
다른 옵션들은 재쳐 두고 -vmargs 이후만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vmargs -Xms40m -Xmx384m 이 부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 줍니다. -vmargs 자 그럼 고친게 뭐냐? 라고 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클립스는 JVM(Java Virtual Machine) 을 사용하여 구동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Java Heap의 최초 크기(Xms)와 최대 크기(Xmx)를 변경해 주어 좀더 여유를 두게 할 수 있는것 입니다. 그리고 최소와 최대를 같게 해주는 것은 동적 변경에 대한 오버헤드를 최소화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 램의 용량은 자신의 사양에 알맞게 자유로이(1/2정도) 변경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한번 실행을 해보세요! 별로 잘 모르시겠다구요? 네.. 요새 컴퓨터들이 너무 좋아 잘 모르실수도 있지만 저처럼 넷북으로 개발 하던 사람은 체감이 될정도로 실행 속도가 빨라 졌습니다. 끝으로 이 방법을 사용후 넷북 개발자 분들의 로딩 여유가 사라진 경우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소소한 팁이지만 읽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출처 : http://forum.falinux.com/zbxe/?document_srl=550561 |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0) | 2011.10.27 |
Java Performance Tip (0) | 2011.10.27 |
String Vs String Buffer (0) | 2011.10.27 |
[Java] AWT와 Swing의 차이점 (0) | 2011.10.23 |
글
String Vs String Buffer
요약본
- 일반적으로 코드 내에서 직접 +를 사용해서 긴 문자열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String을 그대로 쓰는 것이 좋다. 단, 다음과 같이 써서는 안된다. {{{#!vim jav
{{#!vim java String str = "Hello"; str += "World"; str += "String is good"; str += "Hey Hey Hey~"; }
}}위와 같은 코드는 다음과 같이 바꾸어 쓰는 것이 좋다. {{{#!vim jav{{#!vim java String str = "Hello"; + "World"; + "String is good"; + "Hey Hey Hey~"; }
}} - 루프를 돌면서 반복적으로 변수에 String을 대입해야하는 경우는 ?StringBuffer를 쓰는 것이 좋다. {{{#!vim jav
{{#!vim java while(!EOF) { sb.append(parsedFragment); } }
}} - ?StringBuffer 사용 시 버퍼 사이즈를 실제값보다 약간 크게 예상하여 지정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정확하게 예상할 수 없는 경우는 오히려 퍼포먼스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J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 중괄호 초기화 (0) | 2011.11.06 |
---|---|
eclipse 단축키 공부하기 (0) | 2011.10.27 |
Java Performance Tip (0) | 2011.10.27 |
[이클립스] 이클립스 실행속도를 올리자! (0) | 2011.10.27 |
[Java] AWT와 Swing의 차이점 (0) | 2011.10.23 |